[AI사기] 딥페이크 영상 사칭으로 350억 송금 피해 (2025.08.07)


2025-08-08 14:54
20
0
-
- 첨부파일 : news-p.v1.20250807.19b9a2f5636e4199a8898471bdb29645_P1.png (1.4M) - 다운로드
기사내용
본문
🧾 관련 정보
출처: 미주헤럴드경제 / 기자: 김벼리
주제: 생성형 AI 악용 사기 동향
📅 발생 일시
2023년 홍콩 사례 중심 / 2025년 분석 보고 기준
🧩 사건 개요
- 홍콩 A씨, 본사 임원 사칭 딥페이크 영상에 속아 345억원 송금
- 영상 속 인물은 실제 임원이 아닌 AI가 만든 가짜 영상
- 실시간 회의 형식으로 위장해 속임
💻 AI 범죄 수법 요약
- 생성형 AI로 문자, 음성, 이미지, 영상까지 정교한 사기
- 가족 음성 모방해 금전 요구 (보이스피싱 진화)
- 위조 신분증 이미지로 계좌 개설·비대면 인증 시도
- 자연어처리(NLP) 활용 공문, 계약서 위조 사례도 등장
📊 피해 규모
- 2024년 사기 42만건, 다중피해 사기 상반기 1조312억원
- 보이스피싱 상반기 피해금 6421억원 (역대 최고)
- 미국 인터넷 범죄 피해액 160억 달러 (1년새 33% 증가)
📎 제도적 문제
- 현행 형법상 AI 사기 범죄 직접 규정 부족
- ‘AI 기본법’(2023)은 사전 규제 중심, 처벌 조항 미흡
- 위협·책임 소재 불분명해 사후 처벌 한계
🚨 대응 제안
- 생성형 콘텐츠 사전·사후 모니터링 체계 도입
- 딥페이크 등 AI 사칭 콘텐츠에 대한 별도 처벌 규정 마련
- 플랫폼 기업 보안 책임 강화 및 국제 공조 체계 필요
- 소비자: 예상치 못한 연락·유리한 제안 경계, 피해 즉시 신고
댓글목록0